스팀덱 편리한 세팅 방법 PC 제어 무선 파일 전송
스팀덱을 세팅하려면 키보드 마우스와 큰 모니터가 있는 게 편합니다.
스팀덱 독을 사용하거나 USB 멀티허브를 쓸 수도 있지만 돈도 들고 사실 이거 연결하기 귀찮아요.
PC에 있는 파일을 스팀덱으로 옮기는 것도 일인데 편리하게 하는 방법이 있습니다.
세팅 한 번 해두면 스팀덱을 건드릴 필요 없이 컴퓨터로 편리하게 할 수 있어서 아주 좋네요.
스팀덱을 PC로 제어하려면 애니데스크를 보통 추천하는데 제 경우에는 그냥 스팀 링크를 사용하였습니다.
따로 스팀덱에 설치를 할 것도 없고 데스크톱 모드와 스팀 OS 모두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요.
영상을 녹화하거나 할 때도 편리해서 그냥 이걸 쓰게 되네요.
스팀 링크는 https://store.steampowered.com/remoteplay#anywhere 여기서 받으시면 됩니다.
윈도우 용을 깔고 했는데 잘 되네요.
다만 스팀 클라이언트를 끄면 안된다는 게 단점이긴 해요.
데스크톱 모드에서 스팀 클라이언트를 끄고 해야 하는 작업을 할 때는 어쩔 수 없습니다.
스팀 링크가 전체화면으로 켜지는데 이 바로가기를 이용하면 창모드로 떠서 편리합니다.
영상 찍거나 할 때는 전체화면 쓸 일이 좀 있는데 세팅할때는 보통 창모드가 더 편한 것 같아요.
만약 안되면 스팀링크 실행파일에 바로가기 하나 새로 만들어서 위 사진처럼 고쳐주시면 됩니다.
"C:\Program Files (x86)\Steam Link\SteamLink.exe" --windowed
WinSCP 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진짜 편해요.
PC에서 스팀덱의 폴더와 파일 등을 자유롭게 주무를 수 있습니다.
데스크톱 모드
passwd
sudo systemctl start sshd, 패스워드 입력
sudo systemctl enable sshd
여기까지 대충 해주면 되고 나머지는 PC에서 프로그램 깔고 세팅 해주면 됩니다.
WinSCP 다운로드는 https://winscp.net/eng/downloads.php 여기서 해주시면 되요.
에뮬레이터 롬파일 이라던가 스팀 게임 한글패치 등을 할 때도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합니다.
스팀 OS 에서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영어로 나오는 게임을 종료하고 바로 패치하고 한글로 할 수도 있습니다.
'스팀덱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철권태그2 RPCS3 60프레임 에뮬 세팅 (0) | 2023.01.23 |
---|---|
스팀덱 십자키 조작감 개선하기 (4) | 2023.01.22 |
편리한 사용을 위한 바로 가기 세팅 (0) | 2023.01.22 |
철권 시리즈 플레이 테스트 (2) | 2023.01.14 |
스팀덱 구매 SSD 교체 완료 (0) | 2023.01.08 |